-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한 일반음식점의 영업정지 처분 구제 - 하상인 행정사 사무소행정심판/식품위생법 2023. 7. 20. 10:23LIST
일반음식점영업은 식품접객업 중 하나로 "음식류를 조리 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식사와 함께 부수적으로 음주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입니다. 때문에 주류를 청소년에게 판매하다 적발되는 사례들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일반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던 중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게 되면 어떤 법률에 근거해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요?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는 행위는, [청소년 보호법]과 [식품위생법]을 모두 위반하는 행위로 각각 처벌받게 됩니다.
1. 청소년 보호법
청소년 보호법은 "청소년"을 만 19세 미만인 사람(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주세법"에 따른 주류는 청소년유해약물등으로 규정하고, 같은 법 제28조 제1항은 "누구든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유해약물등을 판매ㆍ대여ㆍ배포(자동기계장치ㆍ무인판매장치ㆍ통신장치를 통하여 판매ㆍ대여ㆍ배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거나 무상으로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교육ㆍ실험 또는 치료를 위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라며 판매나 제공을 금하고 있습니다.
*무상으로 제공하여서도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한 후 대금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법률 위반 행위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한 사람은 청소년 보호법 제59조(벌칙) 제6호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2. 식품위생법
제44조 제2항 제4호는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만일에 일반음식점을 운영하던 중 주류를 판매하다 적발된다면, 같은 법 제75조와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 23에 따라 다음과 같은 행정처분을 받게 됩니다.
1차 위반 - 영업정지 2개월
2차 위반 - 영업정지 3개월
3차 위반 - 영업허가 취소 또는 영업소 폐쇄
원칙적으로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다 적발되어 받게 되는 영업정지 처분은, 과징금으로 갈음하여 부과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경감대상에 해당한다면 과징금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청소년 보호법 위반으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 그리고 식품위생법에 따른 영업정지 처분 등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게 가장 좋겠지만, 일단 발생하였다면 적극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대응을 위해서는 사실관계 파악이 중요합니다. 먼저 신분증 확인 여부부터 시작하여, 사건 영업소가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될 때 입게 될 불이익 등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런 사실관계가 파악이 되어야 의견제출서, 행정심판 청구서 등을 작성할 때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관련하여 문의가 있거나 도움이 필요한 경우 하상인 행정사 사무소로 연락 남겨주시면 되겠습니다.
728x90LIST'행정심판 > 식품위생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 신분증 확인 사실이 있는 청소년에게 술을 판매하여 영업정지를 받은 경우 (0) 2023.10.06 청소년 주류 판매 식당의 영업정지 처분 구제 사례와 구제 되지 않은 사례 (0) 2023.09.13 식품위생법 제4조 제1호 썩거나 상한 식품 등을 판매한 경우 처벌? (0) 2023.08.01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한 일반음식점의 영업정지 처분(신분증 도용 청소년의 처벌 등) - 하상인 행정사 사무소 (0) 2023.06.27 일반음식점에서의 야장행위(영업장외의 영업) 영업정지 처분 구제 방법? - 하상인 행정사 사무소 (0) 2023.06.13